daily-story
반응형
데이타베이스(Database) 기초 개념

먼저, 다음과 같은 자료들이 있다고 가정해보자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번호  성명  영어  수학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  1   김지수   80    85
  2   이수영   95    70
  3   윤종신   75    90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 
위 자료구조에서 각각의 열(Column)에 해당되는 "번호", "성명", "영어", "수학"  이 각각을 "필드(Field)" 라고 부른다.

따라서, 위 자료 구조에서 필드의 갯수는 4개가 된다.

또한, 위 자료 구조에서 각각의 행(Row)에 해당되는 것, 예를 들어 첫 번째 행에 해당되는 (1, 김지수, 80, 85) 와 같은 데이타 세트를 "레코드(Record)" 라고 부른다.

따라서, 위 자료 구조에서 레코드의 갯수는 3개이다.

위와 같이, 자료 구조는 레코드에 해당되는 행(Row)과 필드에 해당되는 열(Column)로 구성되어 있다.

그리고, 레코드와 필드로 구성된 위와 같은 자료 꾸러미를 "테이블(Table)" 이라고 부른다.

다음의 또 다른 자료 구조를 보자.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번호  성명  성별 혈액형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  1    김지수  여    A
  2    이수영  여    B
  3    윤종신  남    O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위 자료 구조의 경우 필드의 갯수는 4개, 레코드의 갯수는 3개이다.
위와 같이 구성된 테이블(Table)은 또 다른 개념인 "데이타베이스(Database)" 라는 것에 포함된다..

지금까지 배운 내용을 잠깐 정리하면 자료 구조의 포함 관계가 다음과 같다.

필드(Field) > 레코드(Record) > 테이블(Table) > 데이타베이스(Database)

그리고, 한 가지 추가적인 용어로 "스키마(Schema)" 라는 것이 있는데, 스키마(Schema)는 테이블(Table)의 설계 구조 정도로 이해하시면 된다.

스키마에 관한것은 다음에 알아보자.
반응형
profile

daily-story

@덜구

포스팅이 좋았다면 "좋아요❤️" 또는 "구독👍🏻" 해주세요!